로고

키친스토리 리스트

치열한 노력으로 전통주의 맛을 이어가는 이가 있다. 재료 선택부터 술이 잔에 채워지는 순간까지 모든 과정을 정성으로 어루만진다. 송명섭 명인에게 술은 삶 그 자체이자, 앞으로 지켜가야 ...
발행호 2012 June카테고리 Historical Chef조회수 6077
미국 고유 요리에 여러 나라의 맛을 결합하며 ‘제임스 비어드 시상식(James Beard Award)’에서 3번이나 수상의 영광을 안은 게리 단코. 미국에서 가장 재능 있고 존경받는 요리사 중 한 명으로 꼽히는 그의 요리 인생을 들여다본다.
발행호 2012 April카테고리 Historical Chef조회수 4022
많은 레스토랑들의 꿈이자 세계적으로 이름난 레스토랑 앞에 어김없이 등장하는 미슐랭 가이드의 별 등급. 미식가들의 성서라고 일컬어지는 이 책에 얼마 전 한식당이 최초로 이름을 올린 사건이 있었다. 2012 미슐랭 가이드 1star를 받은 뉴욕의 ‘단지’가 그 주인공. 세계적인 주목 속에 다부진 행보를 이어가고 있는 단지의 오너 후니 킴을 인터뷰했다.
발행호 2011 December카테고리 Historical Chef조회수 5644
마사하루 모리모토는 미국 내 유명 TV 프로그램에 참가해 전파를 탄 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일본의 스타 셰프다. 40여 년 가까이 스시를 만들고 있지만 아직도 배우는 중이라는 그의 이야기는 앞으로 더 다양하게 펼쳐질 그만의 요리를 기대하게 하기 충분하다.
발행호 2011 November카테고리 Historical Chef조회수 4716
30대 중반, 요리사로서는 많지 않은 나이에 미슐랭 가이드에 이름을 올린 야닉 알레노. 그는 창의력 넘치는 요리와 눈에 띄는 외모로 단숨에 프랑스 요리 업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요리사이자 미래가 촉망되는 요리사로 자리매김했다
발행호 2011 October카테고리 Historical Chef조회수 4143
아키라 백(Akira Back). 한국명 백승욱. 라스베이거스에서 현재 최고의 셰프로 손꼽히는 한국인 요리사다. 요리사가 된 후 15년 만에 빌 클린턴 전 대통령도 극찬할 만큼 세계 명사들의 입맛을 사로잡은 그의 요리 인생을 만난다.
발행호 2011 August카테고리 Historical Chef조회수 4347
스페인 출신의 세계적인 요리사 페란 아드리아(Ferran Adria). 뉴욕타임스는 ‘페란 아드리아 없는 스페인 요리업계는 ‘태양 없는 태양계’, ‘기함 없는 함대’ 같을 것이다.’라고 평가했다. 요리는 그에게 있어 열정과 철학, 창조 정신이 모두 녹아든 하나의 독창적인 ‘작품’이다. 새로운 맛을 얻기 위해 실험에 매진하는 그의 노력은 현대 요리사에 한 획을 긋고 있다.
kamagra velemenyek kamagra gel kamagra gel
kamagra velemenyek chamceul.ind.ws kamagra gel
발행호 2011 July카테고리 Historical Chef조회수 3958
민이식위천, 즉 먹는 것을 하늘처럼 여긴다는 중국말이 있다. 중국의 통치자들이 나라를 다스리는 데 있어 음식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다는 기록 역시 중국인들에게 요리가 미치는 막대한 영향력을 짐작하게 한다. 이 같은 음식 문화에 영향을 준 고대 요리사와 현재도 사랑 받는 중국 전통 음식의 고안에 공헌한 인물을 각각 선정했다.
발행호 2011 June카테고리 Historical Chef조회수 4136
오늘날 프랑스는 명실공히 세계 요리의 중심지다. 수많은 명장들을 배출했으며 무수한 서양 요리들이 프랑스의 영향을 받은 것만 봐도 이를 알 수 있다. 이처럼 프랑스가 세계 최고 미식의 나라가 된 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대부분의 나라가 음식 문화를 등한시한 반면 프랑스는 쏟아지는 로마의 음식 문화를 고귀하게 여겨 예술화했고 또 요리 책과 요리 사전 등의 활발한 출간을 통해 요리 문화를 정립시켰다. 이를 토대로 활동하며 초창기 프랑스 요리의 방향을 제시한 시대의 요리장 2명을 선별했다.
발행호 2011 May카테고리 Historical Chef조회수 4177
조선시대에는 여성이 책을 저술하여 남긴다는 것 자체가 통념에 어긋나는 일이었다. 그런 면에서 최초의 한글 요리서를 집필한 장계향은 당대 현모양처의 상징인 동시에 사회적 규범에 과감히 도전한 진취적인 여성이기도 했다. 탁월한 안목으로 식품의 조리법을 기록한 그녀의 요리 이야기 <음식디미방>은 그래서 더 의미가 깊다.
발행호 2011 April카테고리 Historical Chef조회수 4244
19세기와 20세기에 걸쳐 가장 빛나는 명성을 떨친 프랑스 요리사 오귀스트 에스코피에(Auguste Escoffier). 그는 현대 요리와 레스토랑의 모습을 재정립한 인물이자 오늘날 모든 요리사들의 아버지로 통한다. 맛으로 세상을 매혹한 그의 요리 인생과 철학을 들여다본다.
발행호 2011 March카테고리 Historical Chef조회수 3001

사이드 광고

인기기사

투데이 키친

키친앤리빙 연락처